RealClimate: 2022년 기온 기록 업데이트
2023년 1월 13일 작성자: Gavin
또 다른 1월, 또 다른 연간 데이터 포인트입니다.
지난 몇 년과 마찬가지로 표면 온도 기록에 대한 GISTEMP, NOAA, HadCRUT 및 Berkeley 지구 분석의 연간 출시로 인해 2022년의 장기적인 추세와 특정 사건에 대한 많은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주로 (진행 중인) 영향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라니냐 현상과 극단적인 기상 현상(영국 및 기타 지역에서는 기록적인 해, 집중 호우 및 홍수, 허리케인 이안 등)이 발생합니다.
그러나 주류 이야기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는 몇 가지 사항이 있으므로 여기서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ENSO는 실제로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ENSO가 기후 시스템의 경년 변동성과 연평균 기온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여기 독자들 사이에서는). 엘니뇨 현상은 지구 온난화(1998, 2010, 2016 등)를 촉진하고 라니냐 현상(2011, 2018, 2021, 2022 등)은 약간의 냉각 효과를 제공합니다.
결과적으로, 엘니뇨 연도에서 다음 라니냐 연도까지 그린 선은 거의 항상 냉각을 나타냅니다. 이는 기후 허위 정보론자들에게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비록 그들은 그러한 체리 픽의 불확실성을 그렇게 빨리 보여주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2016년부터 2022년까지의 추세는 -0.12±0.37°C/dec이지만 불확실성이 너무 크기 때문에 계산의 의미가 없습니다. 훨씬 더 예측 가능한 것은 (현재) 지속적으로 0.2°C/dec 이상인 장기 추세입니다(지난 40년 동안 훨씬 더 작은 불확실성 ±0.02°C/dec).
그 영향이 무엇인지 정량적으로 탐구해 볼 가치가 있으며, 이는 제가 한동안 살펴보았던 것입니다. 추세 제거된 연간 이상 현상을 ENSO 지수와 연관시킨 다음(최대 상관 관계는 이른 봄 값에 대한 것임) 해당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특정 연도에 대한 특정 영향을 추정하고 ENSO 수정 시계열을 추정하는 것은 쉽습니다.
표면 온도 기록이 더욱 일관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2013/2014년에는 표면 색인(HadCRUT3, NOAA v3 및 GITEMP v3) 간의 차이로 인해 '일시 중지'와 관련된 초기 혼란이 발생했는데, 이는 HadCRUT3에서는 명백해 보였지만 다른 기록에서는 그다지 많지 않았습니다(참조). 이 토론은 2015년부터). 그 이후로 모든 시리즈는 향상된 SST 균질화를 채택했으며 HadCRUT5는 GISTEMP 제품에 사용된 것과 유사한 극 전체에 대한 보간을 채택했습니다. 다음 달부터 NOAA는 북극 부표 데이터(대단한 혁신)를 통합하고 공간적으로 완전한 기록을 제공하는 v5.1로 전환할 예정입니다. 결과적으로 표면 계측기 기록은 이전보다 훨씬 더 일관성이 있게 됩니다. 2차 세계대전 이전(다루어야 할 많은 SST 비균질성)과 19세기(데이터 희소성이 심각한 문제)에도 일부 차이점이 남아 있습니다.
위성기록의 구조적 불확실성이 크다
지상 기반 기록은 더욱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지만 다양한 위성 기록은 그 어느 때보다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RSS와 UAH TLT 레코드 간의 차이는 표면 레코드의 확산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실제로 이러한 추세에 걸쳐 있음) 더 높은 정밀도에 대한 주장은 다소 모호합니다. 마찬가지로, 지상 온도 이상 현상에 대한 AIRS 기록 버전(v6 대 v7)의 차이는 매우 뚜렷한 경향을 나타냅니다(AIRS v6의 경우 2022년 11월은 유난히 추웠으며 이는 다른 기록에서는 볼 수 없었습니다).
산업화 이전보다 언제 1.5℃에 도달할 것인가?
이번주 언론 인터뷰에서 자주 나오는 질문이었습니다. 여기에는 몇 가지 뚜렷한 구성 요소가 있습니다. 참조되는 '산업화 이전' 기간은 무엇이며 해당 기준의 불확실성은 무엇이며 그 이후 장기 기록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최신 IPCC 보고서는 이 문제를 어느 정도 깊이 있게 논의하지만 기본 개념은 1.5°C에서 예상되는 영향이 대부분 명목 기준이 ~1850인 '산업화 이전' CMIP 모델 시뮬레이션에서 파생된다는 것입니다. 기온은 일반적으로 19세기 중반의 평균 기온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개념은 아니지만(예를 들어 Hawkins et al(2017)은 18세기의 기준선을 사용해야 한다고 제안함) 운영하기가 더 쉬운 개념입니다.